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6년 기준 기준 중위소득 인상-신청 가능한 복지·연금 제도 및 지급액

by rnjsdydtjs74 2025. 11. 26.

1. 기준 중위소득이 얼마나 올랐나

  •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별 가구소득의 중간값으로서, 여러 복지급여의 선정기준으로 활용됩니다. 2026년에는 특히 큰 폭으로 인상되었고, 예컨대
    • 1인 가구 기준: 2025년 약 239만 2,013원 → 2026년 약 256만 4,238원으로 7.20% 인상됨. 
    • 4인 가구 기준: 2025년 약 609만 7,773원 → 2026년 약 649만 4,738원으로 6.51% 인상됨. 
  • 이 인상으로 인해, 많은 복지급여의 선정기준 금액(예: 생계급여·의료급여·주거급여·교육급여 기준)이 올라갔고, 그 결과 수혜 가능한 분들이 늘거나 지급여건이 조금 완화될 전망입니다. 

2026년 기준 기준 중위소득 인상-신청 가능한 복지·연금 제도 및 지급액
2026년 기준 기준 중위소득 인상-신청 가능한 복지·연금 제도 및 지급액

2. 어떻게 알아보고 신청할 수 있는가

  • 먼저 본인의 가구원 수와 가구의 소득·재산을 소득인정액으로 환산한 값이 어느 수준인지 확인해야 합니다.
    • 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(실제소득 − 공제항목) + 재산의 소득환산액(재산 − 기본재산공제 − 부채) × 환산율 등. 
  • 그 다음, 자신이 신청하려는 급여의 선정기준(예: 생계급여는 중위소득의 32% 이하 등)과 비교합니다. 예컨대 2026년 생계급여 1인 가구 기준은 약 82만 556원으로 고시됨. 
  • 신청은 거주지의 읍·면·동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 혹은 해당 시·군·구청 복지담당부서에서 할 수 있고, 최근에는 온라인 또는 “복지로” 등을 통해 신청 가능하다는 안내도 있습니다.
  • 신청 후 선정 여부는 일반적으로 신청일로부터 30일 이내 통지되며, 경우에 따라 60일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. 

3. 복지·연금 제도 및 얼마 받을 수 있는가

아래는 대표적 제도와 지급 예시입니다.

  • 기초생활보장제도
    • 생계급여·의료급여·주거급여·교육급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 
    • 예컨대 2026년 기준으로 생계급여의 선정기준(1인 가구) 약 82만 556원/월입니다. 
    • 실제 지급액은 “선정기준액 – 가구의 소득인정액” 방식으로 산정됩니다. 
  • 기초연금
    •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저소득 조건을 갖춘 분이 대상입니다. 
    • 예컨대 2025년 기준으로 기준연금액이 월 약 342,510원이며, 저소득층인 경우 약 30만원 정도가 기준이 됩니다. 
  • 기타 급여
    • 주거급여: 임차가구의 경우 실제 임대료 등을 고려해 지원함. 
    • 의료급여: 선정되면 의료비 본인부담이 크게 줄어드는 구조입니다. 

4. 요약 및 팁

  •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크게 올라가면서, 저소득층 지원제도의 문턱이 낮아지고 있습니다.
  • 본인의 가구원 수, 소득·재산 수준, 그리고 신청하려는 급여의 선정기준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신청 절차는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가능하며, 필요서류(신분증, 통장사본, 임대차계약서 등)를 준비하면 좋습니다.
  • 기존에 탈락했더라도 기준이 바뀌었을 수 있으니, 다시 한번 자격 조건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만약 노년층이라면 기초연금과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생계급여 등 두 제도 모두 가능한지 검토해 보시는 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.